탄소배출권, 왜 주목받고 있을까?
기후변화 대응의 일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탄소 감축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주목받는 제도가 바로 탄소배출권 거래제다.
기업은 할당받은 탄소 배출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며, 초과하거나 남는 배출권은 시장을 통해 사고팔 수 있다. 이 제도는 환경 보호는 물론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탄소배출권 거래의 개념과 절차
탄소배출권이란 일정량의 이산화탄소(CO₂) 또는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보통 1톤의 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하며, 국가 혹은 국제기구로부터 일정량을 기업 단위로 할당받는다. 만약 기업이 해당 연도에 배출권을 초과하면 추가로 배출권을 구매해야 하며, 반대로 남는 경우에는 판매가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배출권거래제(K-ETS)'를 통해 공식적인 거래가 이뤄진다. KRX(한국거래소)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인증된 기업들 간에 실시간 매매가 가능하며, 거래 방식은 일반 주식 시장과 유사하다. 거래소 외에도 장외 거래(OTC) 방식으로 기업 간 직접 거래도 가능하다.
탄소배출권 거래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첫째는 정부로부터 무상 또는 유상으로 할당받은 배출권을 사용하는 방식이고, 둘째는 부족한 배출권을 시장에서 매입하거나 초과분을 판매해 수익을 얻는 방식이다. 특히 에너지 다소비 업종, 제조업, 철강업 등은 배출권 거래를 통해 비용 절감과 수익 창출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실제 거래를 위해서는 거래 자격 등록, 계좌 개설, 시스템 교육 수료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배출권은 'KCU(Korean Allowance Unit)'라는 단위로 관리되며, 기업은 이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내부 전략도 수립해야 한다. 최근에는 배출권 가격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트레이딩 전문가를 별도로 채용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기업 경영의 필수 요소
탄소배출권 거래는 단순히 환경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수익성 모두를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특히 글로벌 ESG 평가가 강화됨에 따라 배출권 관리 역량은 기업 평판 및 투자 유치와도 직결된다. 따라서 탄소배출권에 대한 이해와 거래 역량 확보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
앞으로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배출권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뿐 아니라 투자자, 정책 입안자 모두가 이 시장의 흐름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 탄소배출권 거래에 관심이 있다면, 거래 제도와 시장 구조에 대한 기초 지식을 먼저 갖추고, 관련 교육과 정보를 꾸준히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