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87년 체제 이후 대통령 '탈당史'... 8인 중 7인이 당 떠났는데, 文만 유일하게 당적 유지
📌 개요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대한민국의 역대 대통령 8명 중 7명이 재임 중 또는 퇴임 후 소속 정당을 떠났습니다. 그러나 문재인 전 대통령은 유일하게 당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각 대통령의 탈당 배경과 문 전 대통령의 당적 유지 이유를 분석합니다.
🧑⚖️ 역대 대통령의 탈당 사례
- 노태우: 1992년 대선을 앞두고 김영삼 당시 민자당 후보와의 갈등으로 탈당.
- 김영삼: 1997년 IMF 사태와 아들 현철 씨의 비리로 인한 지지율 하락으로 탈당.
- 김대중: 2002년 세 아들의 비리 의혹이 불거지며 새천년민주당 당적 포기.
- 노무현: 2003년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해 열린우리당 입당, 2007년 지지율 하락으로 열린우리당 탈당.
- 이명박: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정치적 중립을 위해 새누리당 탈당.
- 박근혜: 2017년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 자유한국당에서 제명.
- 윤석열: 2025년 국민의힘을 자진 탈당.
🔍 문재인 전 대통령의 당적 유지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재임 중은 물론 퇴임 후에도 더불어민주당 당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역대 대통령들과는 다른 행보로, 책임 정치와 당의 일체감을 강조하는 문 전 대통령의 정치 철학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 대통령 당적 변화 요약
대통령 | 재임 기간 | 당적 변화 | 변화 시기 | 변화 이유 |
---|---|---|---|---|
노태우 | 1988~1993 | 탈당 | 1992년 | 김영삼 후보와의 갈등 |
김영삼 | 1993~1998 | 탈당 | 1997년 | IMF 사태, 아들 비리 |
김대중 | 1998~2003 | 탈당 | 2002년 | 세 아들의 비리 의혹 |
노무현 | 2003~2008 | 2회 탈당 | 2003년, 2007년 | 정당 창당, 지지율 하락 |
이명박 | 2008~2013 | 탈당 | 2017년 | 정치적 중립 유지 |
박근혜 | 2013~2017 | 제명 | 2017년 | 탄핵 이후 당의 제명 결정 |
윤석열 | 2022~2025 | 탈당 | 2025년 | 자진 탈당 |
문재인 | 2017~2022 | 당적 유지 | 현재까지 | 책임 정치 강조 |
역대 대통령 8명 중 7명은 탈당… 文만 당적 유지
역대 대통령 8명 중 7명은 탈당 文만 당적 유지 尹 등 6명은 출당, MB는 퇴임 후 탈당
biz.chosun.com
87년 체제 대통령 8명 중 7명 당적 정리…문 전 대통령만 당적 유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을 탈당하면서 전·현직 대통령의 '탈당사'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1987년 5년 단임 대통령 직선제가 실시된 이후 전·현직 대통령 8명 가운데 7명이 재임 중이나
news.sbs.co.kr
당적을 유지 하네 마네... 대한민국 '대통령 잔혹사'
대선이 다가오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더불어민주당 탈당'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은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유영민 대통령비서실장에게 '공정한 선거관리를
www.ohmynews.com
반응형
'정치 이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vs 이준석 '셰셰' 발언 논쟁 정리 (3) | 2025.05.19 |
---|---|
대선 첫 TV토론 달군 이재명 '커피 원가 120원' 논란 (6) | 2025.05.19 |
이재명 대표, 개헌 드라이브... '4년 연임제'와 함께 '현직 대통령 제외' 명문화 주장 (9) | 2025.05.18 |
제21대 대선판 변화? 자유통일당 구주와 후보 사퇴 공식 발표 (9) | 2025.05.18 |
'계몽된 자의 선택'? 김계리 변호사, 국민의힘行... "지금은 김문수의 시간" (12) | 2025.05.18 |